일전에 수도권 전철을 소개한데 이어 오늘은 지하철 개통 연혁을 알아보자 - 자세한 정보는 해당기관에 문의하면 더 상세히 알수 있을것이다. 우선 한국에 지하철이 생기기전 수십년동안 기차가 다녔던 곳은 가장 먼저 19세기 말에 생긴게 경인선으로 당시 노량진에서 제물포까지 였다. 노량진 에서 제물포 까지는 최초의 철도노선이고 노량진 제물포 영등포 부평 역 등이 당시 생긴 역들이다. 1900년에 서울역과 용산역 동인천역 인천역 등이 신설되 경인선은 서울에서 인천까지로 연장됨. 1905년 서울에서 부산 까지 경부선 개통되고 다음해 경의선 개통 (서울-의주) 1914년 경원선 개통 (용산-원산) 그리고 그후 경춘 중앙 호남 전라 장항 등이 개통되며 1940년대까지 철도시대가 열렸다. 전국에 다양한 노선이 생기고 다..
전국 사립초등학교 현황 2018년 2월 현재 사립초등학교는 74개 2000년당시 대한민국 사립 초등학교는 총 76개 (서울 39) 였다. 변동 을 보면 2000년당시 서울 사립초 39개 (강북 37 강남2) 부산 7개 기타 30개 등 총 76개 2001년 서울 영등포구에 동광초 설립 대신 부산 배정초 폐교로 사립은 그대로 76개 (서울 40개) 2006년 서울 종로에 있던 계성초 가 강남구로 이전하여 강남 지역은 4개 서울 전체는 그대로 40개 2015년 서울 서부 관내 알로이시오 초 폐교됨 서울 전체 39개 (강북 35 강남 4) 2017년 포항 제철서 초등 폐교 따라서 현재 전국 사립초등 현황 총 74개 서울 39 (강북 35 강남 4) 부산 6 인천 5 대구 4 광주 3 대전 2 경기도 3 강원도 ..
일본 에서 2020년 올림픽을 앞두고 일부 일본식변기(한국서도 흔한 화변기)를 서양식 좌변기로 바꾸겠다고 한다. 하지만 여기서 일부 언론의 과장된보도를 경계하며... 일본은 한국과는 달리 전통적으로 청결성을 중시하는 나라다. 그래서인지 화변기가 많지 않은 한국과는 달리 아직도 상당수가 화변기를 선호한다. 일본 노인들 인구가 늘면서 양변기가 늘고 있는 추세지만 젊은 여성들은 여전히 화변기를 선호한다. 일본은 한국보다 더 앞서 서양문물을 받아들인 선진국가다. 1차 올림픽 역시 `1964년에 치뤄 한국(1988)보다 24년 먼저 치뤘고 중국 (2008) 보다 44년 먼저 치뤘으며 2020년 2차 올림픽을 앞두고 있다. 또 동계 올림픽(1998) 역시 치룬바 있고 한국은 아세안 게임 (1986) 과 동계 올림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