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전에 수도권 전철을 소개한데 이어 오늘은 지하철 개통 연혁을 알아보자
-
자세한 정보는 해당기관에 문의하면 더 상세히 알수 있을것이다.
우선 한국에 지하철이 생기기전 수십년동안 기차가 다녔던 곳은
가장 먼저 19세기 말에 생긴게 경인선으로 당시 노량진에서 제물포까지
였다. 노량진 에서 제물포 까지는 최초의 철도노선이고 노량진 제물포 영등포
부평 역 등이 당시 생긴 역들이다. 1900년에 서울역과 용산역 동인천역 인천역 등이 신설되 경인선은 서울에서 인천까지로 연장됨.
1905년 서울에서 부산 까지 경부선 개통되고 다음해 경의선 개통 (서울-의주)
1914년 경원선 개통 (용산-원산) 그리고 그후 경춘 중앙 호남 전라 장항 등이 개통되며 1940년대까지 철도시대가 열렸다.
전국에 다양한 노선이 생기고 다양한 차종으로 기차가 운행된다.
청량리역 왕십리역 서빙고역 성북역 창동역 등 각 역들도 지하철이 생기기이전에 있던 역들이다.
경원선은 용산에서 출발 왕십리 청량리 등을 거쳐 성북역을 지나고 망월사 의정부 역을 거쳐 신탄리 그리고 북한 원산까지
경의선은 서울 에서 문산을 거쳐 다시 개성 사리원 평양 역을 거쳐 의주(신의주) 까지.
경춘선은 원래 성북역에서 출발하던 노선이고 청량리역에서는 경원선 중앙선 및 경춘
선을 모두 이용할수 있었고 지금 현재도 청량리역은 중앙선 과 경춘선 출발역이다.
1974년 8월 15일 이날 드디어 서울 지하철 1호선 이 개통되 서울역에서 청량리역 까
지 지하 9개 역이 영업을 개시한다. 동시에 1호선과 기존 국철 노선이 연계하여 통합
1호선이 운행하게 된다. 이에따라 서울역에서 인천까지 기존 경인선 구간이 지하철 1
호선으로 대체되고 또 서울역에서 수원까지 경부선 구간에도 지하철 1호선이 병행 운
행함 그리고 청량리에서 성북역까지 역시 통합 1호선(경원선 구간) 운행...
수도권 전철이 이날로 개통되 영업과 운행을 시작함.이때 남영역 등 몇개역이
신설됨
1978년 12월9일
경원선 용산역에서 청량리역까지 구간 전철로 대체되 수도권 지하철 체계로 들어감.
(용산 서빙고 이촌 한남 응봉 옥수 왕십리 청량리)
지상 서울역은 기차, 지하 서울역은 지하철로 운행하고 또 지상 청량리역은 기차와
지하철 동시 운행 지하 청량리역은 지하철로 운행.
이후 1980년대에 여러 역들이 신설된다. 신길역 독산역 등이 1980-90년대 사이 신설된 역이고 경인선 구간에도 역 몇개 가 신설됨.
1980년 10월31일 2호선 첫 개통
(종합운동장에서 신설동까지 그러나 후에 2호선이 순환으로 개통되면서 신설동노선은 지선으로 바뀜)
1982년 12월 과 1983년 9월,12월에 단계적으로 개통되 1984년 5월21일
마침내 2호선은 순환으로 완성되(시청-시청 내선 외선) 운행.
1985년 4월에 4호선 첫구간 그해 7월에 3호선 첫구간 개통 그해 10월에
3,4호선 완전 개통됨 3호선은 구파발에서 학여울까지 4호선은 상계에서 사당까지
1986년 1호선 성북에서 의정부역으로 연장 1987년에 의정부 북부역으로 연장.
1988년 안산 노선 신설됨 (금정-안산)
1990년 3호선 지축역 (경기 고양군 지축면) 신설 일산선 사실상 착공
1992년 2호선 신도림에서 양천구청까지 연장되고 이어 신정네거리로 연장 (지선)
1993년 3호선 학여울에서 수서로 연장 4호선 북쪽 당고개역 신설
1994년 4호선 남쪽 남태령역 신설 , 과천노선 신설로 4호선은 과천 안산노선으로 연장됨. 선바위-금정-안산노선
1994년 분당선 (수서-오리) 개통
1996년 1월31일 일산노선 개통 (지축-대화) 3호선 이 일산노선으로 연장됨.
따라서 1호선(서울역-청량리 지하9역) 3호선(지축-수서) 4호선(당고개-남태령) 2호선 전노선
서울 지하철공사(서울 메트로)에서 운영
5-8호선은 서울 도시철도공사에서 운영
국철(한국철도청 관리구간) 1호선 구간중 지하 청량리-지하 서울을 제외한 전 구간
(경인 경원 경부) 경인선 구로-인천 경원선 용산-청량리-의정부북부 경부선 서울(지상)에서 수원까지
3호선일산노선(지축-대화) 4호선 과천안산노선(선바위-안산역) 분당선 등 모두 국철 구간
1995년 11월15일 5호선 개통 왕십리-상일동 구간
1996년 3월20일 5호선 방화-까치산 개통
3월31일 지선 (강동- 마천) 개통
8월12일 신정-여의도 구간 개통
12월30일 여의나루에서 왕십리까지 개통으로 5호선 완성됨
1996년 10월18일 7호선 장암- 건대입구 개통
11월15일 8호선 개통
1999년 인천 1호선 개통
1999년 7월2일 8호선 암사역으로 연장 완성.
2000년 2월 , 7호선 신풍-온수 개통 그해 8월 뚝섬유원지부터 신풍까지 완전개통됨
2000년 8월 과 12월 6호선 개통
2001년 3월9일 은평노선 개통으로 6호선 완전 개통
2002년 4월 ,9호선 착공되 2008년 첫 구간 개통
2000년 4호선 오이도로 연장됨.(기존 안산까지)
2003년 1호선 수원에서 병점까지 연장 2004년 병점에서 천안까지 연장
그후 현재는 신창까지 운행. 또 북행으로는 소요산까지 운행
소요산 부터 신탄리 종점까진 통근열차로 운행.
3호선은 수서에서 오금까지 연장되고 8호선은 암사에서 별내까지 현재 진행중
7호선은 온수에서 부평구청까지 연장
분당선은 오리에서 2005년 보정 그리고 2008년 죽전까지 연장 되고 그후 현재 는 수원까지 (현재는 왕십리에서 수원까지)
경춘선 청량리-춘천 전철화 중앙선 용산-용문 전철화
그리고 경의선 은 용산선 중앙선 통합하여 문산-용산-용문으로 통합됨
다만 경의선 서울역-신촌역-가좌역 구간은 일반 기차로 병행운햄함
최근 인천 2호선 개통
오늘 날 수도권 전철노선은 매우 복잡하고 광범위하게 연결되 있다. 서울노선(총 9개지하철노선 및 기타 경전철 우이노선 신분당선 및 분당선 등) 과 국철노선(경의 경부 경인 경원 분당 신분당 우이 중앙 경춘 등) 인천1.2호선 등으로 현재 수도권 전철은
서울특별시 중심으로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등 이른바 무려 5개 중부권 광역단체가 연결된 최대 노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