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연혁 소개 * 1974년 8월15일에 1호선 개통 (서울역에서 청량리까지) 기존 국철 구간 일부를 1호선에 연계 함 경원선 지하철 개통 청량리-성북 경부선 서울역-수원역 경인선 구로역-인천역 1978년 12월9일 국철 용산- 청량리 구간 전철화 (용산에서 왕십리 방면으로 그리고 청량리역으로 기존 국철 구간) 1980년 10월31일 2호선 개통 종합운동장역에서 신설동역까지 1982년 과 1983년에 추가로 개통하고 성수역에서 신설동까지는 지선으로 변경 1984년 5월21일 2호선 순환노선으로 완전 개통함 1985년 4월 4호선 상계에서 한성대입구까지 1985년 7월 3호선 구파발에서 독립문까지 1985년 10월에 3호선 양재역까지 연장 개통 4호선은 사당역까지 연장 개통 1986년 1호선(경원..
현재 경기도는 너무 비대하여 분도가 필요한데 과연 경기도 개편은 이루어질까 지금으로선 실현 성이 높지 않지만 한번 제안을 해본다. 의견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 우선 인구가 비대한 100만 이 넘은 수원을 광역시로 승격하고 100만에 육박하고있는 용인 성남 부천을 광역시 승격을 검토해볼만함 다만 인근 시군 통페합없이 현재의 경계를 유지하면서 작은 시군을 존치하고 제안함. 수원 광역시 승격 용인 성남 부천 광역시 검토 경기 북도는 고양 의정부 파주 동두천 양주 연천 가평 포천 양평외 김포 광명 안양 과천 광주 하남 남양주 구리 강화 경기 남도는 시흥 안산 화성 오산 그외 평택 여주 이천 안성 군포 의왕 옹진 현재 인천광역시에 편입되 있는 강화 군 과 옹진 군을 경기북도와 남도에 각각 편입 시킴 한가지 재밌..
우선 변기에 대한 명칭 정리가 필요하다. 일명 푸세식 이는 재래식 화장실 변소로 물을 사용하지 않고 통으로 오물을 퍼내는 전통식 변소간을 말하며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일부 시골 오지와 산악 도서를 제외하고 이젠 이런 화장실은 없다. 그다음 유형이 수세식인데 바닥형 변기로 쪼그리고 앉는 변기 즉 스쿠아트(squat) 변기를 말한다. 이런 종류 변기는 일본 중국 아시아권은 물론 중동지역과 유럽 일부에도 흔하다. 다만 북미와 서북유럽은 전부 걸터앉는 좌변기 (일명 양변기) 이다. 스쿠아트변기는 보통 아시아권에서 사용하지만 화변기 즉和식 변기인데 일본에서는 와로 발음한다. 그래서 와변기라고도한다. 和변기의 화 라는 명칭은 일본에서 사용하던 것을 한국에 들여와 한국에서 그대로 사용하면서 불리게 된 이름 아직도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