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학교에 가보면 화장실이 변기가 두종류가 있음을 알수있다. 한개는 수세식 일명 화변기(일본식 발음 와변기) 즉 和 변기 이고 또 다른한개는 일명 좌변기 (보통 서양식이라하여 洋변기)- 이미 화변기 좌변기 문제는 여러번 글로 올린바 있으므로 같은글은 생략하고 요지만 말하자 오늘날 아직도 화변기냐는 이런 질문을 하는 사람들은 뇌 구조 부터 바꾸어야한다. 화변기는 낡은 유물이 아니라 정통 수세식 일명 정수식이라하며 자연스러운 방식 (쪼그리고 앉는게 다리가 불편하다지만 자연스런 방식임 그리고 그것이 신체 운동에도 좋고 위생적임) 이다. 화변기의 장점을 폄하하고 은폐하면서 무조건 편하니까 좌변기로 다 바꾸어야 한다는 논리 오늘날 불행하게도 대한민국 학부모 와 교사들 까지 심지어 국회의원 정치인들까지 나서서..
경기도 U 시에 있는 U초등학교에 원어민을 지원했는데 원어민으로 공립교 근무 경력이 단 일년밖에 안된다고 거절했습니다. 말하길 4년 이상 경력자를 원한다고 합니다. 물론 학교가 선호하는 사람을 학교가 정할순 있지만 그러나 솔직히 비정규직 원어민은 아주 특별한 사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외국인이고 채용 과정이 다소 국내 비정규직과 다를뿐 교사 자체는 특별한 상품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원어민만 특별한 경력과 학위 능력을 요구하는것은 다소 불합리하다고 생각합니다. 우수한 교사 기준은 사람됨 마음가짐 열정 노력 그리고 교사로서의 철학 과 인터뷰 등으로 판단되고 평가되야지 아직도 학력 경력 겉 상품표만 보고 내적인 면 보다 외적인 면만 보고 사람을 평가하고 우수한 교육자 평가 기준을 사람의 내적인 면이 ..
대한민국은 현재 광역정부 - 시군구- 동읍면- 통리 그리고 기타 반 촌 등으로 되 있고 지금은 도로이름 주소를 사용한다. 반면 북한은 광역정부에 해당하는 특별직할시-시군구역-동읍리 이렇게 좀더 간략한 단위급으로 되 있고 여전히 번지 주소를 사용한다. 남한과 북한의 구역 제도가 어떻게 다른가 간단 설명해보자. - 먼저 광역정부 아래 시군구 까지는 같은 개념으로 볼수 있다. 다만 북한에선 구를 구역으로 부른다. (예를 들면 평양직할시 평천구역) 비슷한 점도 다른점도 다 있다. 북한은 초창기던 1952년 말에 당시 평양특별시를 직할시로 개칭하여 특별시를 폐지했다. 하지만 2000년대 와서 특별시를 다시 사용 현재 평양은 직할시 그리고 남포 와 라선 (나진 선봉지구를 합친 이름)을 특별시로 하고 있다. 남한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