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본의 행정구역과 한국은 비슷한 점이 많다.
우선 한국은 2019년 4 현재 1 특별시 6 광역시 1 특별자치시
14도 로 되 있다.
물론 북한에 속한 5도 는 현재는 대한민국의 실효권이 미치지 못하지만
대한민국 헌법상 북한 역시 엄연 대한민국땅이며 북한은 대한민국 헌법상
합법적인 국가가 아니므로 이렇게 쓰기로한다.
대한민국 실효권이 미치는 9도는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반면 북한에 속한 5도는 다음과 같다.
황해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북한정권은 현재 새로 개편된 행정 구역을 사용함 즉 1 직할시 2 특별시 9 도)
대한민국은 1특별시 (서울 특별시 중앙수도) 1 특별자치시 (세종시)
6 광역시가 있다.
서울특별시 1946년 경기도로부터 분리 중앙 수도가 됨
부산 1963년 직할시 승격 경상남도로부터 분리
대구 1981년 7월 직할시 승격 경상북도로부터 분리
인천 1981년 7월 직할시 승격 경기도로부터 분리
광주 1986년11월 직할시 승격 전라남도로부터 분리
대전 1989년 2월 직할시 승격 충청남도로부터 분리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은 1995년 봄에 직할시에서 광역시로 명칭이 변경됨)
울산 1997년 7월 광역시 승격 경상남도로부터 분리
제주도는 2006년 2월 특별자치도로 승격 (단 그 지위는 다른 도 와 같음)
세종특별자치시 기존의 충청남도 연기군과 공주시 일부를 분리하여
2012년 7월 특별자치시로 출범 신설됨. (연기군 전체지역이 세종시로 편입
기존 군은 해체되고 공주시는 일부만 세종시에 떼주고 존치됨)
대한민국은 이렇게 17개 광역단위가 있고 그아래 시 군 구 그리고 그 아래 다시 나뉘어져 동
읍 면 그리고 다시 통 리 급 이하로 나뉜다.
북한은 1952년에 개편된 행정체계에따라 면은 폐지되고 읍은 리 하고 같은 지위로 격하되
현재 특별 직할시 도 - 시군구역 (북한의 구역이 한국에서는 구 하고 같음)
그리고 그 아래 여러 읍 리 및 동 으로 나뉨
말하자면 한국은 광역급- 시군구급-동읍면-통리 이하 사실상 4단계
이고 북한은 광역급과 같은 시도급- 시군구역급-읍리동 사실상 3단계
그외 한국에는 통반제와 마을 단위 부락이 있으나 북한에는 통반제는 없는것으로
알려져있고 한국은 현재는 도로명 으로 주소를 사용하나 북한은 아직도 번지제도를
사용함.
그런데 일본은 한국과 또 어떻게 비슷한가 물론 광역급 이하단위는 한국과 비슷하므로
생략하고 일본의 최고 즉 광역급 단위에 대해서만 설명하자
먼저
일본역시 조금씩 개편해온바 있다.
일본은 4개에 달하는 주요 도서 와 부속섬들로 이뤄진 섬나라
가장 북쪽에 홋카이도 그리고 중앙 본섬인 혼슈 (일본인구의 80 % 이상거주)
아래쪽에 시코쿠와 큐슈 그리고 가장 하단에는 열도인 오키나와라는제도가 있다.
혼슈를 제하곤 비교적 농어촌이 많고 저개발권이다.
일본에는 총 47개 광역급 단위 지방이 있는데 한국처럼 특별시도 있다.
즉 일본 중앙수도인 도꾜(동경)와 오사카(대판) 쿄토(경동) 등 이른바 3대 특별도시는
곧 광역급 단위에 속하며 다른 현들과 지위가 같다.
47개 지방가운데 43개가 현 명칭을 사용하며 현은 縣 은 한국의 道(도) 하고 같은 개념이자
같은 체계로각 현마다 일반 시 군 과 같은 구조가 있어 한국과 비슷하다.
비교적 큰도시들인 코베 나고야 삿포로 요코하마 등도 각 현에 속한 일반시이다.
반면 한국광역시와 같은 도꾜 오사카 쿄토 등 3대 도시는 모두 특별시로 현과 같은 지위이다.
그리고 북해도 즉 홋카이도는 그 자체가 하나의 현이지만 현 명칭대신 한국처럼 도 로 불리고 있다.
물론 지위는 현과같다. 따라서 44개 도(현)가 있는 셈이다. 그리고 3개 특별시 포함 47개인 셈이다.
중국도 비슷하지만 중국은 복잡하고 소수민족자치구도 있으므로 다음에 언급하기로 한다.
아뭏든 일본은 한국과 문화적으로 비슷하여 일본을 여행하거나 일본에서 얼마간 살경우
마치한국의 어느 지방에 온것처럼 착각이 들기도 한다.
온천 목욕탕 화장실 문화 집구조 등 비슷한 점이 많다.
부러운것은 일본은 서양문화를 먼저 받아들였지만 그럼에도 일본 주거문화등 기존 문화 보존을
추구하고 일본인들은 민족 자부심이 강하다. 반면 문화적으론 이미 서구나 미국 식민지나 다를바
없는 한국을 보면서 착잡한 마음이 든다.
아파트가 대부분인 한국에서 그나마 한옥 보존지구를 확대하고 무조건적인 서구화 보단
서구 문화와 전통 문화를 모두 유지하고 공존케 해야할것이다.
나는 공중 화장실 문화역시 일본이 더 우월하다고 생각한다. 일본의 공항 그것도 미국에서 한국을 갈때
잠시 일본에 머물렀는데 일본 공항 화장실에는 쪼그리고 앉는 화변기가 있었다. 부분적으로 화변기가
설치되 있었던것이다. 살이 닿지 않아 위생적인 화변기가 걸터앉아 편리해도 살이 닿는 좌변기보단
낫다. 미국처럼 100 % 좌변기를 사용하는 나라도 있지만 일본은 다른 아시아국가들처럼 아시아 스타일
변기(일본 화변기 등)과 좌변기를 병행 사용한다. 한국도 한때는 공중화장실에서는 화변기가 주류였지만
오늘날 공중 화장실 마저 대부분 좌변식으로 착잡하고 실망스럽다.
2020년 도꾜 올림픽을 앞두고 부분적으로 좌변기를 설치하고 있으나 이는 올림픽 관련 시설물과 일부
외국인들이 많이 찾는 다중 장소일뿐 일본 전체가 그렇게 바뀌는것은 아니므로 확대 해석 금지.
전철역 학교 같은곳은 여전히 혼용설치에 화변기가 여전히 많은 상태다. 하지만 한국은 올림픽과 월드컵경기장
은 100 % 좌변식 공항을 비롯 백화점 같은곳도 100 % 좌변식 국립 서울대학교 화장실도 거의 100 % 좌변식
심지어 전철역과 학교 마저도 곳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이 좌변식이다.
한국이여 부끄러움을 알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