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서울 수도권 전철에 대하여 다시.

서지골사나이 2018. 10. 29. 10:40

일전에 수도권 지하철 관련글 많이 올린 사람으로 다시 오늘 새로올림.

 

서울 지하철은 1974년에 처음 개통할때 당시 1호선은 국철구간하고 연계 되어개통했다.

 

현재 1호선은 국철과 연계된 구간이 많기에 국철과 함께 알아보는게 좋다.

 

서울 1호선은 정확히 메트로구간(서울시 관리) 과 한국철도에서 관리하는 국철구간으로 나뉜다.

 

메트로 구간은 서울역에서 청량리역까지 10개역으로 비교적 짦은 편이고 나머진 전부 국철구간이다.

 

메트로 구간은 전부 지하역이며 도심구간을 통과한다. 반면 나머지 1호선은 전부 국철 지상 구간이며

 

수십년동안 기차가 다니던 길이다.

 

1974년 당시 1호선이 개통하면서 서울-수원구간(경부선) 서울-구로-인천 구간(경인선) 그리고 청량리-성북구간

 

(경원선일부)이 1호선과 연계되어 동시 개통하였다. 그후 성북에서 의정부 그리고 현재는 소요산역까지 30여년간

 

발전개통해왔다. 그리고 경부선은 원래 수원까지 였으나 2003년 세류 ,병점역이 개통하고 2004년에 천안까지 연장된후

 

현재는 천안에서 신창까지 따라서 경부-장항노선까지 1호선에 포함된다.

 

그리고 1호선과 별개지만 국철구간이 전철화되었다.

 

용산역에서 청랑리역까지 국철 구간은 원래 기차구간이었지만 1978년에 전철화하면서 지하철로 대체되고

 

그후 21세기초에 양평을 지나서 용문까지 즉 중앙선 구간과 연계되었고  기존 용산선을 활용한 경의선 구간은

 

용산에서 문산까지로 두 구간이 통합되 경의중앙선으로 개편되 문산에서 용산을 거쳐 용문까지 즉 경기도 파주

 

에서 서울을 거쳐 경기도 양평까지 중장거리로 운행된다.

 

경춘선은 역시 청량리역에서 출발 춘천까지로 전철화되는등 벌써 지하철이 개통된지 44년 그동안 많은 변화가 있었고

 

새로운 노선과 새로운 전철이 수시로 탄생하며 변화를 거듭해왔다. 자세한것은 지하철 및 한국철도 홈페이지 연혁 참고.

 

 

그외 한국철도에서 관리하는 구간은 분당선이 있고 일산노선은 3호선으로 안산및 과천노선은 4호선으로 연계되있다.

 

그리고 서울 지하철은 1-9호선까지이다.

 

자세한것은 참고하기로 하고

 

각 지하철 개통년도를 알아보자

 

물론 단계별 개통인 경우 단계에 따라 개통연도가 다르다. 1,3,4호선은 단계별 아닌 최초의 개통연도를 나머진 단계별로 정리했다.

 

 

1호선

 

1974년 개통   지하 서울역-지하 청량리역

 

서울-수원구간  구로-인천구간  청량리-성북구간

 

 

2호선

 

1980-84년  개통  순환노선에 2개 지선노선

 

 

 

3호선 /4호선

 

1985년 개통

 

 

 

5호선

 

1995-96년 개통

 

6호선

 

2000-2001년 개통

 

7호선

 

1단계 (장암-건대입구) 1996년

 

2단계 (뚝섬유원지-온수) 2000년

 

3단계 ( 온수- 부평구청)  2011년

 

 

8호선

 

1단계 (모란-잠실) 1996년

 

2단계 (잠실-암사)  1999년

 

3단계 (암사에서 남양주까지 건설중

 

2020년쯤 개통 예정?)

 

 

9호선

 

2009년 첫구간 개통  2011년 두번째단계 개통

 

2018년  3단계 개통(가장 최근 10월)

 

기타.

 

분당선  1994년 첫구간 개통

 

일산노선 (3호선 연장)  1996년

 

과천 안산노선(4호선 연장) 1994년 첫 개통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