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수도권 지하철 노선도.

서지골사나이 2017. 12. 7. 05:42

수도권 전철 그야말로 중부권 다섯개 광역단체(서울 경기도 인천 강원도 충청남도)

를 연결하는 광범위한 지하철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지하)- 인천 (국철하고 연계)  경인선

소요산- 천안 (국철과 연계)   경원선 및 경부선

청량리(지하)-신창 (국철과 연계)     장항선

급행 열차 도  운행함.

 

최초노선 1974년 개통

 

2호선

 

시청-시청 순환 1980-84년 개통 1990년대초 연장개통

 

2개 지선

 

3호선

(국철 일산선 연계)

대화-오금  1985년 첫노선 개통  일산선 1996년 개통

 

4호선 (국철 과천및안산선 연계)

당고개-오이도  1985년 첫노선 개통

과천및안산선은 1988년-2000년 개통 안산선 1988년 과천선 1994-2000년

 

5호선 1995-1996 개통         방화-상일,마천

 

6호선 2000-2001 개통        응암순환- 봉화산

 

7호선 1996-2000년 개통    장암-부평구청   연장 개통

 

8호선 1996-1999년 개통   모란- 암사동

 

9호선 2008년 첫 개통  개화- 종합운동장  (2017년 12월 기준)

 

 

기타 

 

분당선 1994년 첫 개통뒤 2000년대 연장개통    국철

 

경의선  용산-문산  국철  (기차 ,지하철 모두 운행)

 

중앙선  용산-용문   국철 (기차,지하철 모두 운행 급행열차도 운행)

 

경춘선  청량리(지상)-춘천  국철

 

인천 1.2호선

 

부산 1-4호선

 

대구 1-3호선

 

광주 1호선

 

대전 1호선

 

기타 국철노선-

 

 

서울 1-4호선 서울지하철공사에서 서울메트로 그뒤

 

2017년 서울 도시철도공사 (5-8호선) 및 주식메트로(9호선) 와 통합

 

현재 서울 교통공사 에서 1-9호선을 통합 운영하고

 

그외 분당선 과천안산선(4호선 연계)  일산선( 3호선 연계) 경의선 경춘선 중앙선

 

그리고 경원선 경인선 경부선 장항선(전부 1호선 과 연계됨) 은 한국철도 (국철) 관리.

 

참고로 지하철 서울 1호선의경우 통상적으로 소요산(경기북부)에서 인천,천안 및 신창

 

까지 장거리 노선이 전부 통합 1호선으로 운행되지만 정말 서울교통공사 관할 구간은

 

지하구간 10역( 지하서울역에서 지하 청량리역까지) 뿐이고 나머지 1호선은 전부 한

 

국철도공사 즉 국철 관리 구간이며 지상 구간임.  또한 3호선 ,4호선역시 서울시 구간

 

은 서울교통공사에서  경기도 구간(일산선,과천선,안산선)은 국철 관리 구간임

 

3호선 지축- 오금 사이는  서울 시 , 지축-대화 는 국철  (지축역은 兩社 공동관리. 통합관리는 서울시)  지축- 백석 사이는 지상 지하 구간이 번갈아 나오고 백석부터 대화까진 전부 지하구간.

 

4호선 당고개-남태령은 서울시 , 선바위-오이도는 국철구간 .(금정에서부터 오이도까진 전부 지상구간)

 

 

지하서울역(1,4호선) 하고 국철 지상 서울역은 별개역으로 환승되지 않으며(비록 통로

 

로 연결은 되 있지만)마찬가지로  지하 청량리역(1호선) 하고 국철 지상 청량리역은

 

광장 한개를 사이에 두고 근거리지만 환승되지 않음.  국철 서울역은 경부선 경의선

 

등 일반 기차만 운행하고 지하철은 지하역에서 타야함

 

청량리(국철 지상)역은 지하철(중앙선 경춘선) 과 일반 철도(중앙선 기차)

 

모두 운행.

 

국철(기차) 과 지하철 모두 이용 가능한 역 은  용산역 영등포역 안양역 수원역 평택역

 

천안역 청량리역 덕소역 양평약  용문역 등이며 경의선 은

 

현재 두개의 방면으로 운행됨

 

1  지하철  (용산-가좌-문산) 용산-가좌는 지하구간

 

2  가좌 부터는 기존구간과 동일함.

 

  국철 (기차 무궁화호)  서울(지상)-신촌-가좌-문산

 

 

 

한국철도는 1899년 경인선 개통을 시발로 120년동안 이어져 왔고

 

지하철은 서울에서 1974년 첫 개통된다.

 

열차 종류

 

1  증기 기관차  : 불과 연기를 뿜으며 달리던 증기 기관차는 최초의 열차 였으나 한국에선 이미 1967년 마지막 운행하고 폐차되어 지금은 박물관에서나 볼수 있다.

 

서양에서는 1930-40년대 이미 증기 기관차 운행 중지

 

2  디젤 기관차 : 현재 새마을 무궁화 호 등이 이에 속하며 연료(기름)와 가스를 이용하는 열차로 점차로 전철로 대체되는 추세 아직은 운헹중임.

 

3  전철  : 전기의 힘으로 움직이며 현재는 전철이 추세이다.

 

KTX 같은 경우 파워가 한곳에 모여져 초 강력 파워를 내며 장거리 구간을 달릴수 있다.

반면 지하철 들은 파워가 여러곳으로 분산되 각각 파워를 내며 단거리 구간으로 운행됨.  또 올릴예정임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